가문을 빛낸 선조

본문

mark.png 서화공 휘 행원 행적

약  전

행  적

신도비

선조 목록

 

단 기

서 기

나 이

조 선

약   보

3925

1592년

1세

선조 25년

신계공의 둘째아드님으로 출생

3943

1610년

19세

광해 2년

진사시 입격

3946

1613년

21세

광해 5년

광해 계축년 환란으로 부친을따라 양근군 지평으로 좌폐(坐廢)

3950

1617년

25세

광해 9년

알성문과 을과 급제

3952

1619년

27세

광해 11년

9월 6일

승문원 가주서 배속

3957

1624년

32세

인조 2년

2월 26일

종사랑 홍문관 정자를 제수 받음

11월 7일

父 신계공의 상을 당하여 백형 동지공과함께 3년상 치룸

3960

1627년

35세

인조 5년

1월 17일

선교랑 홍문관 부수찬을 제수 받음

4월 5일

승의랑 사간원 정언을 제수 받음

5월 11일

통덕랑 사간원 헌납을 제수 받음

6월 24일

겸 홍문관 교리를 제수 받음

10월 6일

통덕랑 사헌부 지평을 제수 받음

3961

1628년

36세

인조 6년

3월 26일

승의랑 이조좌랑을 제수 받음

5월 9일

암행어사로 호서지방을 살피고 돌아옴

8월 16일

통덕랑 이조정랑을 제수 받음

3964

1631년

39세

인조 9년

1월 8일

봉정대부 홍문관 응교를 제수 받음

3966

1633년

41세

인조 11년

7월 16일

통훈대부 승정원 동부승지를 제수 받음

3967

1634년

43세

인조 12년

7월 26일

母 풍천임씨(豊川任氏)의 상을 당하여 3년상 치룸

3969

1636년

45세

인조 14년

10월 11일

통정대부 승정원 우승지를 제수 받음.

병자호란 발생으로 남한산성으로 임금을 호종 함.

최명길등의 화의론에 맞서 척화를 주장함

3970

1637년

46세

인조 15년

7월 14일

사간원 대사간을 제수 받음

11월 24일

성균관 대사성을 제수 받음

3971

1638년

47세

인조16년

5월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옴

10월 25일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를 제수 받음

12월 5일

경기도 관찰사를 제수 받음

동양위 신익성에게 父 신계공의 묘갈명을 청함

3973

1640년

49세

인조 18년

1월 8일

빈객으로 청나라에서 세자를 호종함

3974

1641년

50세

인조 19년

8월 18일

청나라에서 돌아와 사헌부 대사헌을 제수 받음

3975

1642년

51세

인조 20년

5월 16일

승정원 도승지를 제수 받음

3976

1643년

52세

인조 21년

4월 13일

사헌부 대사헌으로 傳任

3977

1644년

53세

인조 22년

1월 9일

승정원 도승지을 제수 받음

3978

1645년

54세

인조 23년

3월 26일

이조참판를 제수 받음

3979

1646년

55세

인조 24년

4월 17일

정헌대부 이조판서를 제수 받음

3980

1647년

56세

인조 25년

4월 7일

반송사로 청나라에 다녀옴

7월 8일

병조판서를 제수 받음

12월 10일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 右議政兼 領 經筵監事 春秋管事를제수 받음"

3981

1648년

57세

인조 26년

4월16일

사은사로 청나라에 가던중 중도에서 병을 얻어 의주에서 돌아가심

4031

1698년

 

숙종 24년

5월25일

시호 孝貞으로 追贈